Artic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orth Korean Folk songs for Elementary School Textbook in Preparation for Korean Unification - Focused on integrated subject textbooks and music textbooks-

AUTHOR :
Ji Young Park
INFORMATION:
page. 75~99 / 2019 Vol.48 No.1
e-ISSN 2713-3788
p-ISSN 1229-4179
Received 2018-11-30
Revised 2019-01-17
Accepted 2019-01-25
DOI https://doi.org/10.30775/KMES.48.1.75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NK folk songs to be included in integrated subject textbooks and music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in preparation for unification and present an educational method. To that end, NK folk songs collected in music textbooks and integrated subject textbooks, which are currently used in elementary schools, were analyzed, along with five printed music books published by the National Music Institute and NK folk songs gathered in 「Music data book of NK folk songs」 and 「Korean folksong data book selected and put on record by Im Seok-jae」. Out of these songs, a total of 10 songs were selected and arranged for educational use. In addition, the NK folk songs was arranged according to the level of each grade group and the activities related to unification education were presented in conjunction with other curricula.

Keyword :

REFERENCES


  1. 강등학 (1996). 한국민요의 현장과 장르론적 관심. 서울: 집문당.
  2. 강미정 (2007). 교육적 활용을 위한 충청북도 민요의 음악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3. 고정희, 김종철, 구본관, 이현길, 윤구희, 김호태, 이은정, 조진수, 차경미, 문찬란, 김진아, 심미진 (2015). 남북한 초·중·고등학교 국어교육 통합을 위한 기초연구. 국어교육연구, 36, 1-49.
  4. 교육부 (2015). 음악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서울: 저자.
  5. 국립국악원 (1998). 국악교육안내서 1 민요 이렇게 가르치면 제맛이나요. 서울:저자.
  6. 국립국악원 (1999). 국악교육안내서 2 향토민요 이렇게 가르쳐 보세요. 서울: 저자.
  7. 국립국악원 (2002). 국악교육안내서 3 전래동요. 서울: 저자.
  8. 국립국악원 (2002). 꿩꿩 장서방. 서울: 저자.
  9. 김영운, 김혜정, 이진원 (2007). 북녘 땅 우리 소리 악보자료집. 서울: 민속원.
  10. 김영운, 김혜정, 최헌 (2009). 교육용 국악 표준 악보(향토민요 100선). 서울: 국립국악원.
  11. 김영은 (2007). <조선민요 1000곡집> 분석을 통한 함경도 민요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12. 김현정 (2012). 초등학교 음악 제재곡 개발을 위한 향토 민요 연구. 한국민요학, 36, 135-171.
  13. 김현정 (2014). 초등학교 음악 제재곡 개발을 위한 노동요 연구. 음악교육연구. 43(1). 46-62.
  14. 김현희 (2014). 남·북한 초등학교 국악·민족음악 교육 비교 분석. 석사학위논문,서울교육대학교.
  15. 김혜정 (2007). 통일대비 국악교육을 위한 북한민요 연구. 한국음악연구, 41, 5-21. https://doi.org/10.35983/sikm.2007.41.5 [Crossref]
  16. 김혜정 (2013). 민요의 채보와 해석. 서울: 민속원.
  17. 김혜정 (2015). 국악교육의 지향과 민요의 교육적 활용. 서울: 민속원.
  18. 류아름 (2012). 북한민요 연구-<노 젓는 소리>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19. 박지영 (2017). 통일 대비 초등학교 교과서의 북한 민요 제재곡 개발 연구-통합교과 교과서와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20. 박찬석 (2015). 도덕과의 인성교육과 통일교육 융합에 관한 연구. 초등도덕교육, 47, 223-248.
  21. 박찬석 (2017). 2016년 이후 통일교육의 현황과 과제. 도덕윤리과교육연구, 54, 265-289.
  22. 배인교 (2012). 북한 고등중학교 민요 교육의 음악적 고찰. 한국민요학, 35, 61-94.
  23. 송명현, 김두정, 김소영, 이윤소 (2016). 초·중등학교 통일 교육과정 연구 동향과과제. 한국교육문제연구, 34(3), 1-20. https://doi.org/10.22327/kei.2016.34.3.001 [Crossref]
  24. 유지숙 (2007). <긴·자진아리>에 대한 연구-북한 민요 <룡강기나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25. 윤철기 (2016). 남북한 사회통합의 현안과 통일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 정치정보연구, 19(1), 417-453.
  26. 윤철기 (2017). 한반도의 평화문제와 통일교육의 새로운 방향의 모색. 정치정보연구, 20(1), 81-119.
  27. 이윤정 (2015). 평창군 민요의 전승 활성화 방안. 국악교육, 39, 143-159.
  28. 이인재, 박균열 (2012). 초·중등학교급별 교사와 학생의 통일교육에 대한 인식 차이. 윤리교육연구, 28, 63-90.
  29. 정미경, 김유정 (2008). 통일을 대비한 초등실과 가정생활교육 방안(Ⅲ) -식생활 및 주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1(2), 157-177.
  30. 조경숙 (2007). 향토민요의 교육활용 방안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민요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31. 조빛차 (2015). 미술교과 내에서의 통일대비 교육의 필요성 및 교수학습 방안. 석사학위 논문, 숙명여자대학교.
  32. 최성룡 (2011). 남·북한과 연변지역의 경서도 민요 비교 연구.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33.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1). 2011 통일교육지침서 초등학교용. 서울: 저자.
  3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4). 임석재 채록 한국구연민요자료집. 서울: 민속원.
  35. 한희정 (2003). 통일 대비 음악교육을 위한 북한 음악의 이해: 민요와 개량악기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36. 함규진 (2015). 통일교육의 쟁점과 과제: 초등학교 학교교육을 중심으로. 입법과 정책, 7(1), 83-105.
  37. 함규진, 이신애, 장세영 (2015). 북한 관련 보도에 대한 초등학생의 이해와 통일교육의 과제. 초등도덕교육, 50, 335-375. https://doi.org/10.17282/ethics.2015..50.335 [Crossref]

Archives

(53 Volumes, 852 Articles)
view all volumes and issues

Author Fee

Review Fee: 90,000 won

Publication Fee: 200,000 won (+ 10,000 won, when exceeding 20 pages)

Bank Account: Post Office 101220-02-048775 (KMES, Daneun K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