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s

Mediating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the Relation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with Applied Music Major Students

AUTHOR :
Sejin Park, Jongmin Ra
INFORMATION:
page. 1~15 / 2019 Vol.48 No.2
e-ISSN 2713-3788
p-ISSN 1229-4179
Received 2019-02-27
Revised 2019-04-17
Accepted 2019-05-03
DOI https://doi.org/10.30775/KMES.48.2.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diating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the relation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with applied music major students. Results obtained from path analysis were follows as. First, major satisfac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e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s well as career maturity. Seco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edcareer maturity. Third, partial mediating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existed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Last, indirect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and via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career maturity. The current study showed importance of how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to enhance students’ career maturity.

Keyword :

REFERENCES


  1. 김계원, 양은주, 최정수 (2016). 예체능 대학 인력 공급 현황 및 인식분석. 예술교육연구, 14(1), 1-16.
  2. 김계현, 하혜숙 (2000). 대학생의 학과(學科)(학부(學部))만족(滿足)의 要因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 1(1), 7-20.
  3. 김수현 (2016). 예술 계열 전공 인력수급 분석. 기본연구 2016-56, 충북: 한국고용정보원.
  4. 김은주 (2014). 대학생들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학생 상호작용, 수업만족도, 독서량 간의 관계검증. 교육종합연구, 12(3), 1-22.
  5. 김종운, 박성실 (2013). 전문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진로교육연구, 26(3), 123-141.
  6. 김혜주, 도승이 (2009). 대학생의 전공만족과 전공수업 중 몰입경험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와 학습컨설팅, 1(2), 15.
  7. 동아방송대학교 (2017). 2017학년도 수시지원현황. 접속일 02.05.2019. http://ipsi.dima.ac.kr/sub_01/bbs_view.asp?num=7&pageNum=1&bbsID=ipsi_result&search=&schKey=&schVal=&start=1
  8. 류윤석 (2012). 전문대학 학생들이 지각한 교수신뢰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교육문제연구, 42, 245-263.
  9. 박명숙 (2017). 음악전공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음악교육공학, 32, 73-87.
  10. 박미란, 이지연 (2010). 진로성숙에 미치는 개인적 변인과 학교교육의 효과 검증. 인간이해, 31(1), 65-88.
  11. 서울대학교 경력개발센터 (2008). 2007년 서울대학교 재학생 진로의식조사 보고서. 서울대학교 경력개발센터.
  12. 서울예술대학교 (2018). 2018학년도 수시지원현황. 접속일 02.05.2019. http://www.seoularts.ac.kr/mbs/kr/jsp/board/view.jsp?spage=1&boardId=66&boardSeq=145640&mcategoryId=&id=kr_020306000000
  13. 석문주, 권덕원 (2016). 음악수업에서 인지적 도제학습이론의 적용. 미래음악교육연구, 1(1), 63-81.
  14. 양우석 (2017). 실용음악학과 커리큘럼의 비교 연구. 박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15. 어윤경 (2011). 청소년기 진로상담 만족도, 대학 전공만족도 및 진로성숙도간의 관계 분석: 대학 전공선택 요인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12(5), 1793-1811.
  16. 옥선형 (2016). 대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콜라주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박사학위논문, 평택대학교 대학원.
  17. 유승혜, 조영아, 김정아 (2010). 비서학전공 전문대학생들의 진로태도 성숙도와 취업역량 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비서·사무경영연구, 19(1),165-188.
  18. 이기학 (1997).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19. 이수일 (2004). 전문 대학 실용음악 혹은 대중음악 전공자의 직업 능력 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음악교육공학, 4, 61-74.
  20. 이진희 (2012). 대학생의 학과만족도, 진로성숙도 및 진로스트레스 조사연구. 상담평가연구, 5(1), 45-60.
  21. 정희영 (2010). 미용전공 대학생의 가치관과 자기효능감에 따른 전공만족도 및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대학원.
  22. 정희영, 박옥련 (2009). 미용전공 대학생의 가치관과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의 관계연구. 한국인체예술학회지, 10(1), 35-49.
  23. 지은림, 김성숙 (2004).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담임 교사와의 관계에 대한 인식 비교. 교육발전연구, 20(2), 83-101.
  24. 하혜숙 (2000). 대학생의 학과(학부)만족과 학교만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5. 한국교육개발원 (2017). 2017 교육통계 분석자료집. 통계자료 SM 2017-05, 충북: 한국교육개발원.
  26. 한송이 (2009). 교수학생의 상호작용이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무용능력 성취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27. 한예정, 이종호 (2013). 대학생들의 가치관에 따른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학회지, 19(2), 76-92.
  28. 홍지연 (2018). 음악대학생들의 전공별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음악교육연구, 47(2), 265-290.
  29. Crites, J. O. (1978). Career maturity inventory. CA: CTB/McGraw-Hill. Kuh, G. D., & Hu, S. (2001). The effect of student-faculty interaction in the 1990s. The Review of Higher Education, 24(3), 309-332. https://doi.org/10.1353/rhe.2001.0005 [Crossref]
  30. Lei, M., & Lomax, R. G. (2005). The effect of varying degrees of nonnormality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12(1), 1 – 27. https://doi.org/10.1207/s15328007sem1201_1 [Crossref]
  31. Nunnally, J. C. (1978). Psychometric theory(2nd ed.). New York: McGraw-Hill. Super, D. E. (1953). A theory of vocational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8, 185-190. https://doi.org/10.1037/h0056046 [Crossref]
  32. Wubbels, T., Brekelmans, M., & Hooymayers, H. (1991). Interpersonal teacher behavior in the classroom. In B. J. Fraser & H. J. Walberg (Eds.), Educational environments: Evaluati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pp.141-160). Oxford, England: Pergamon Press.
  33. Wubbels, T., & Levy, J. (1991). A comparison of interpersonal behavior of Dutch and American teachers.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15, 1-18. https://doi.org/10.1016/0147-1767(91)90070-W [Crossref]

Archives

(53 Volumes, 814 Articles)
view all volumes and iss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