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s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and Change of the Violin Student’s in the ‘El Sistema Korea’ Orchestra Program

AUTHOR :
Seonyoung Baek
INFORMATION:
page. 73~102 / 2019 Vol.48 No.3
e-ISSN 2713-3788
p-ISSN 1229-4179
Received 2019-05-31
Revised 2019-07-25
Accepted 2019-08-19
DOI https://doi.org/10.30775/KMES.48.3.73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experiences and changes of the violin student’s in the ‘El Sistema Korea’ orchestra program. Participating observations, classroom observations, activity journals, group interview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in the study, and recordings were taken in order to collect data for this research.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El Sistema Korea’ orchestra education has allowed students to experience a variety of activities that they have never experienced in a more practical way before, which has contributed to expanding there artistic experience.Second, the ‘El Sistema Korea’ orchestra education has improved the students’ self-confidence and self-esteem, and these personal changes have produced positive improvements in their social skills.Finally, the students’ interest to enjoy music in life, to major in music, and to enjoy art in life improved consistently through the ‘El Sistema Korea’ orchestra education. However, despite these positive factors, the opportunity costs to study was a decisive factor in forcing them to abandon their orchestra education.

Keyword :

REFERENCES


  1. 곽삼근 (2016). 현대인의 삶과 문화예술교육. 파주: 집문당.
  2. 교육부 (2015). 음악과 교육과정. 고시 제2015-74호.
  3. 교육부 (2018). 행복한 교육, 426(1).
  4. 권덕원 (1999). 데이빗 엘리엇의 실행 중심의 음악 교육 철학(Praxial Philosophy)이 음악 교육에 끼치는 영향. 국악교육, 17(2), 10-37.
  5. 김경태, 최동연, 이보림, 윤성원 (2017). 꿈의 오케스트라 평가 내용 및 방법 개선. 음악교육공학, 30(7), 117-142.
  6. 김기수 (2004). 존듀이『예술론(Art as Experience)』에 제시된 경험 의미 고찰. 음악교육연구, 26(2), 37-75.
  7. 김기수 (2011). 논문: 존 듀이 예술철학의 음악 교육적 가치. 음악과 민족, 41(12), 331-351.
  8. 김기수 (2016). 존 듀이의 자연성과 프래그머티즘 음악교육. 음악교육연구, 45(2), 1-20.
  9. 김영은, 이은희 (2013). 학생오케스트라 활동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음악치료학지, 15(2), 121-152. https://doi.org/10.21330/kjmt.2013.15.2.121 [Crossref]
  10. 김재춘 (2012). 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사.
  11. 김현미 (2017). 청소년 오케스트라 교육 지도자의 오케스트라 교육 인식에 대한 질적연구. 예술교육연구, 15(3), 57-75.
  12. 박진홍 (2013). 교사 설문조사를 통한 학생오케스트라 사업의 운영 실태 분석. 음악교육연구, 42(1), 127-150.
  13. 박진홍 (2016). 지역 거점 학생 오케스트라 운영 방안. 음악응용연구, 8(5), 30-36.
  14. 서지혜, 이진숙 (2014). 한국형 엘 시스테마: 아동·청소년 오케스트라 일궈가기. 서울: 마티.
  15. 성태제 (2014). 교육평가의 기초 (제2판). 서울: 학지사.
  16. 송도선 (2004). Dewey에 있어 경험과 교육의 관계. 교육철학, 25(7), 61-77.
  17. 유기웅, 정종원, 김영석, 김한별 (2018).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제2판). 서울: 박영Story.
  18. 윤성원 (2013). 학생오케스트라 사업이 학생의 인성에 끼친 영향. 음악교육공학, 16(8), 137-159.
  19. 이인화, 노상우 (2011). J. Locke의 경험적 지식론 탐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5(3), 139-159. https://doi.org/10.17283/jkedi.2011.25.3.139 [Crossref]
  20. 이진숙 (2016). 사회취약계층 아동대상 오케스트라 교육에서 지도강사 경험 탐색과 요구: 꿈의 오케스트라를 중심으로. 예술교육연구, 14(3), 163-181.
  21. 장기범 (2005). 오케스트라 활동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음악과 비평, 4(4), 5-13.
  22. 장근주, 정수연 (2013).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지원하는 서울
  23. 정정철 (2011). 학교교육에서 제공되어야 할 교육적 경험의 특성에 관한 연구: 존듀이의 교육론을 중심으로. 교육철학연구, 33(1), 161-184. https://doi.org/10.15754/jkpe.2011.33.1.007 [Crossref]
  24. 정지영, 정지은, 이석규 (2014). 문화소외지역의 문화예술교육운영방안에 관한 사례연 구. 문화예술교육연구, 9(3), 63-83. https://doi.org/10.15815/kjcaes.2014.9.3.63 [Crossref]
  25. 조경원, 김미환, 최양미, 장선희, 정광희 (2015). 교육철학 및 교육사: 한국과 서양 교육의 이해 (제2판). 파주: 교육과학사.
  26. 주대창, 현경실, 민경훈, 양종모, 김용희, 조성기, 김지현, 권수미, 조대현, 박지현, 최진호, 임은정 (2018). 음악교육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학지사.
  27. 최은식, 권덕원, 문경숙, 석문주, 승윤희, 정재은, 정진원, 오지향, 최미영, 함희주 (2014). 음악교육 연구방법. 파주: 교육과학사.
  28. 최은심, 박철홍 (2016). 초등학생의 오케스트라활동 경험이 자아개념 및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敎員敎育, 32(2), 161-183.
  29.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2).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평가(효과 측정) 2차 연구. (KACES-1121-R007).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30.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4a).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31.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4b). 꿈의 오케스트라 공연 효과성 연구. (KACES-1480-R002).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32.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a). 꿈의 오케스트라 신규 교육강사 워크숍 <자료집>.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33.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b).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중장기 운영방안 연구. (KACES-15).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3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6). 꿈의 오케스트라 해외전문가 초청 워크숍 <자료집>.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35.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7a). 꿈의 오케스트라 찾아가는 교육인력 연수 자료집.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36.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7b). 제45차 아르떼 해외전문가 초청 워크숍 <자료집>.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3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7c). 꿈의 오케스트라 지식공유 포럼 자료집.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38. Borzacchini, C. (2010). 엘 시스테마, 꿈을 연주하다: 빈민가 아이들에게 미래를 약속한 베네수엘라 음악 혁명. 김희경 역. 파주: 푸른숲.
  39. Creswell, J. W. (2015).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제3판).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 서울: 학지사.
  40. Davis, J. H. (2008). Why our schools need the Arts.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41. Dewey, J. (1916). Democracy and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education. New York: Macmillan.
  42. Dewey, J. (1934). Art as experience. New York: Minton, Balch & Co.
  43. Dewey, J. (1938). Experience and education. New York: Macmillan.
  44. Dewey, J. (2017). 경험으로서 예술 1. 박철홍 역. 파주: 나남.
  45. Dewey, J. (2017). 경험으로서 예술 2. 박철홍 역. 파주: 나남.
  46. Elliott, D. J. (1995). Music Matters: A new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Archives

(53 Volumes, 814 Articles)
view all volumes and issues

Author Fee

Review Fee: 90,000 won

Publication Fee: 200,000 won (+ 10,000 won, when exceeding 20 pages)

Bank Account: Post Office 101220-02-048775 (KMES, Daneun Kwon)